비누를 만드는 비누화 반응(saponification) 이란? 지방과 유지를 구성하는 주요성분인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글리세롤에 3분자의 지방산이 에스테르 결합한 것)에 강염기인 수산화나트륨(NaOH) 등을 반응시켜 알코올(=글리세롤)과 지방산염(=비누 덩어리)을 생성시키는 반응입니다.R-COO-R' + XOH → R-COO-X + R'OH먼저 이 비누화 과정에서 생기는 알코올은 글리세롤로, 수분을 흡수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비누에 그대로 혼합되어 보습제 역할을 해줍니다.비누화 반응의 또 다른 산물인 지방산염, 비누는 소수성 알킬기와 친수성 카르복실 음이온 염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이 물과 섞이면 친수성은 바깥쪽, 소수성은 안쪽으로 배열되는 마이셀 (micelle)을 형성합니다. 결국 비누는 "천연 계면활성제" 로써 탁월한 세정효과를 갖게 되는 것입니다.여기서 잠깐, 계면활성제란? 쉽게 말하자면, 서로 다른 계면의 '경계' 를 완화시켜 표면의 장력을 낮춰주는 성분을 말합니다. 물에 녹기 쉬운 친수성 부분과 기름에 녹기 쉬운 소수성 부분을 가지고 있는 화합물로써, 비누나 세제, 그리고 로션과 크림과 같은 화장품의 유화제로 사용됩니다.따라서 계면활성제는 화장품을 이루는 구성 성분 중에서도 탑 오브더 탑! 으로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밀라비의 화장품은 바로 이 천연 계면활성제 그 자체인 [ 비누 ] 에서부터 차근 차근 시작하게 된 것입니다. 정답은? 밀라비 로열 밀크 클렌저 남들이 가장 중요하지 않은 화장품이라고 생각하는 바로 그 세안제!심지어 백화점 명품(?) 화장품 매장 안에서도 잘 팔리지 않는지 먼지 구석에 처박혀 있던_ 엄청 비싼데 효과조차 1도 없던 바로 그 것.만원도 안되는 싸구려 제품들이 넘쳐나니 사람들은 1+1으로 욕실에 쟁여두고마구 마구 헤프게 쓰기 바쁜.여러분들이 아무꺼나 (대부분 자기가 뭘 쓰고 계신지 잘 모르심) 매일 얼굴을 문지르면서도 내 피부 장벽에 문제가 생길지 단 1초도 고민해본 적 없었던바로 그 화장품 말입니다.비누, 클렌저,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클렌징오일, 메이크업 리무버...그것이 어떠한 형태로, 얼마나 다양한 광고로 포장되어 나오든지간에어쨌든 저는 궁금했고 제대로 알아야만 했습니다!비누 연구 - Soap Bubbles(ca. 1859) - Thomas Couture참! 그러고보니 저도 화장품을 만들기 전까지는... 계면활성제 라는 단어는 소아과학 공부할 때 자주 시험에 출제되었던 족보! 라는 것 밖에는 몰랐습니다.그게 어떤 문제였냐구요? 아래 소아과 시험 문제를 읽고 빈칸을 채워보세요!미숙아는 폐가 아직 발달하지 않은 상태로 태어나기 때문에 폐포의 크기가 작습니다. 그리고 이 폐포 사이의 경계를 완화시켜 표면의 장력을 낮춰주는 [ ]를 충분히 만들어내지 못합니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호흡곤란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은 정상적인 폐기능을 위한 내인성 [ ]의 부족으로 발생하며, 미숙아의 사망과 이환의 주요한 원인이 됩니다. RDS의 치료를 위해 외인성 [ ] 를 신생아에게 기관지 내로 투여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정답은? [ 계면활성제 ]출처: 서울대학교병원 희귀질환센터 어때요? 우리 몸에서도 분비되는 계면활성제는 이처럼 정~말 중요한 성분이죠?그래서 저의 결론은 뭐다?천연 계면활성제를 처음부터 제대로 만들줄 알아야피부에 정말 좋은, 건강한 화장품이 되겠구나! 라고 생각했습니다.건강한 비누 연구 - Boy Blowing Soap Bubbles - Ignazio Stern(German, 1679 - 1748) 그러면서 깨닫게 되죠. 아...... 이 세상에 싸고 좋은 건 정말.진.짜.로. 없구나!화장품 원료 배합의 황금 비율을 얻기까지...쉽고 빠른 길이란 절대 없다!- 계면활성제가 가르쳐준 밀라비 인생의 참된 교훈 그렇다면, 합성 세제 (Synthetic + detergent = Syndet)란 무엇일까? 주로 석유를 원료로 하여 제조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혹은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가정용 세제의 총칭입니다.글자 그대로 합성을 뜻하는 Synthetic과 계면 활성제(Surfactant) 를 뜻하는 Detergent, 이 두단어를 합성한 단어입니다.용도에 따라 산성-중성-알칼리성까지 매우 다양한 pH 를 띄도록 얼마든지 만들어 낼 수 있죠.우리가 어디서나 쉽게 구매할 수 있는 "클렌징 폼" 이라 불리는 제품들은 사실 기존의 "비누" 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했던 합성 계면활성제를 베이스로 하여 만든다고 생각하면 됩니다.일반적인 성분들을 보면 ;정제수 + 계면활성제 및 세정제 기능을 하는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 코코넛오일에서 얻어지는 지방산으로 만든 거품형성제 기능을 하는 디소듐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 코코넛 오일염에서 추출된 양성 이온 성분으로 계면활성제 및 거품형성 기능을 돕는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 살균보존제인 페녹시에탄올과 메칠이소치아졸리논이 함유됩니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눈을 크게 뜨고 찾아보자! 화장품 성분표 예시의학 저널 검색 플랫폼인 Pubmed 에서 검색한 논문을 하나 첨부합니다.Abstract 만 한번 볼까요? https://pubmed.ncbi.nlm.nih.gov/34524773/세제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샴푸, 컨디셔너, 비누, 그리고 화장품에서 쓰입니다.잠재적인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 (ACD) 또는 자극성 접촉 피부염 (ICD)을 식별하기 위해 오늘날 여러 제품에 사용되는 다양한 계면활성제를 인지해야 합니다.일상적으로 너무 많이 사용하고 있기에 다수의 직업성 접촉 피부염 사례가 계면활성제 때문일 수 있습니다. ACD와 가장 많이 연결된 제품은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올레아미도프로필 디메틸아민, 데실글루코사이드, 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 아미도아민, 그리고 코카마이드 디에탄올아민입니다.또한 ICD의 가장 흔한 계면활성제 관련 원인은 소듐 라우릴설페이트와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입니다.Dermatitis, 2021물론 이 논문에서 말하는 계면활성제는 우리가 인위적인 화학반응을 통해 만들어낸 합성 계면활성제입니다.대량 산업화와 화학공업 발전의 산물로 얻어진 합성 계면활성제들이 버무려진 수많은 제품들이- 우리에게 필요한건 비누가 아닙니다, 과학입니다. 를 외칠 때.비누가 아닙니다, 뷰티 바입니다.솝-프리(soap-free) 클렌징 바, 신데트 바, 신데트 비누,피부는 약산성, 클렌징폼도 약산성으로 순하게~pH 발란스드-약산성 바, 약산성 샴푸바...- 합성 계면활성제 꽤 있어보이는 다양한 이름과 광고 문구들로당신은 늘 혼란스럽습니다.덧붙여... 저도 죄송합니다.밀라비의 로열 밀크 클렌저는 사실 천연 계면 활성제인 "비누"입니다.비누를 비누라고 말하지 못하고......ㅠㅠ"클렌저" 라는 대중이 선호하는 이름을 붙였던 점, 저도 아쉽습니다.로얄 밀크 비누...... 까지 생각했습니다.로얄제리를 넣었으니 로얄! 이라고 불러줬다면 훨씬 더 정겨운 이름이 되었을텐데 말입니다. :)비누라면 보통 딱딱한 고체일텐데밀라비 로열 밀크 클렌저는대체 왜! 크림보다 부드럽고비누보다 더 촉촉한 겁니까???밀라비 로열 밀크 클렌저궁금하니까 다음 편에서 계속...